전체 글416 니시무라 혜성 430년만에 재방문 C/2023 P1 일생에 한 번 볼 수 있는 니시무라 혜성이 왔습니다. 430여 년 만에 지구 가까이 다가온 C/2023 P1 니시무라 혜성이 태양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태양풍의 영향을 받아 꼬리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이 혜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근지점은 2023년 9월 12일로 지구와 1억 2500만 km 떨어진 거리에서 지나가게 됩니다. 크기가 1km인 이 혜성은 9월 17일에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게 됩니다. ㅁ 혜성은 육안으로도 볼 수 있지만 매우 희미합니다. 별 관찰앱으로 선명하게 관찰해 보세요. ㅁ별 관찰앱 Sky tonight 바로가기 Sky Tonight: 우주 탐험을 어플, 스카이맵 - Google Play 앱 이 천문 앱을 및 밤하늘 가이드를 사용하면 별, 별자리표AR, 행성, 위성, 소행성, 혜성 등.. 2023. 9. 10. 카론 Charon 왜소행성 명왕성 위성 태양계에서 왜소 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의 위성 카론(Charon)은 명왕성 위성 중에서 가장 큰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얼음 천체에 대한 주요 특징과 위치 및 모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카론의 기원 2. 카론의 발견과 크기 3. 자전과 공전 4. 카론의 표면 얼음 4.1 질소 얼음 4.2 메탄 얼음과 일산화탄소 얼음 5. 표면 구조과 대기 5.1 크레이터와 평원 5.2 카론의 대기 1. 카론의 기원 카론은 지구의 달과 동일하게 45억 년 전의 대충돌로 생성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위성 형성 과정은 초기 태양계에서는 일반적인 현상이었기 때문입니다. 2. 카론의 발견과 크기 카론은 1978년에 미국의 천문학자 제임스 크리스티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명왕성의 위성은 카론을 포함하.. 2023. 9. 10. 달에 매장된 천연자원 헬륨3 희토류 달 탐사에 나서는 이유 ㅁ 달 탐사 이유 각 나라가 달 탐사에 참여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이러한 이유들은 정부, 과학 연구 기관, 우주 기업 및 다른 이해 당사자들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천연자원의 확보 및 우주산업 개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것입니다. * 매일밤 하늘에 떠있는 달에 대해 자세히 관찰해보세요. NASA가 말해주는 달 Home – Moon: NASA Science Moon.nasa.gov is NASA's deep dive resource for lunar exploration from astronauts to robots. moon.nasa.gov ㅁ 우주 강국들의 달 착륙 시도 최근 한 달 사이에 우주강국들이 연달아 달 착륙선을 보내고 있습니다. 인도는 찬드라얀 3호를 세계 5번째로 달 표면에 .. 2023. 9. 9. 화성에서 산소 만들기 성공 퍼서비어런스호 산소 생성 ㅁ 화성에서 산소 생산 NASA가 화성에서 산소를 직접 생산하는 성공 하였으며, 이는 미래의 유인 화성탐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게 만듭니다. ㅁ 화성의 대기 화성의 대기는 이산화탄소가 95% 이상을 차지하고, 산소는 0.2%로 매우 희박한 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인류가 화성에 거주하기 위해 산소 공급에 대한 방식을 해결해야 한다는 큰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지구에서 산소를 가져가는 방법도 있지만, 지속적이지 않고 비용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ㅁ 목시 (MOXIE) 21년 NASA에서는 화성 탐사를 위해 발사한 퍼서비어런스호에 산소를 만들어내는 목시(MOXIE)라는 장비를 탑재시켰습니다. MIT 헤이스택 관측소 연구팀이 만든 산소 생산 실험 장치인 목시는 토스트기 크기로.. 2023. 9. 9. 목동자리 현대의 별자리 88개 Bootes 하늘의 아름다움 목동자리는 현대의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그 특이한 모양과 함께 역사로 가득 찬 놀라운 별자리입니다. 목동자리의 특징과 주요 별에 대해 자세한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위치와 심볼 2. 목동자리 관측 3. 주요 핵심 별 3.1 아크투르스 3.2 이자르 4. 별자리 전설 1. 위치와 심볼 목동자리는 동쪽 하늘의 별자리로, 봄철 저녁 하늘에서 잘 보입니다. 목동자리는 "목동 herdsman" 또는 "쟁기질하는 사람 plowman"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목동자리 심볼은 상자나 다이아몬드 모양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별자리 모양이 어떻게 보이는지는 개개인의 상상력을 펼치는 정도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만들게 됩니다. 목동자리는 하늘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인 아크투루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곰의 수호자라는 .. 2023. 9. 8. 일본 달 탐사선 슬림(SLIM) 발사 성공 23년 9월 7일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달 착륙선 로켓을 규슈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H2A 로켓 47호기에 탑재하여 쏘아 올렸습니다. ㅁ 슬림 발사영상 보러 가기 로켓 발사는 성공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무인 달 착륙선은 24년 1월쯤 달 적도 부근의 시오리 지역에 착륙을 시도할 예정입니다. 슬림이 달 표면에 착륙할 경우 미국, 러시아(소련),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5번째로 달에 착륙하는 나라가 됩니다. ㅁ 탑재 설비 이 로켓에는 소형 달 탐사선 슬림(SLIM)과 엑스선 분광 촬영 위성 크리즘(XRISM)이 탑재되었습니다. 크리즘(XRISM)은 NASA와 공동개발한 엑스선 관측 저궤도 위성으로, 우주의 구조와 형성, 은하핵, 암흑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사용됩니다... 2023. 9. 7. 테티스 토성 위성 오디세우스 크레이터 테티스(Tethys)는 토성의 내부 위성 중 하나로, 토성의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돌고 있습니다. 오디세우스 크레이터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테티스 위성에 대한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테티스 작명 2. 테티스의 주요 특징 2.1 테티스 크기 2.2 테티스 표면 ㅁ 오디세우스 크레이터 3. 지형적인 특징 3.1 골짜기 3.2 리지 (Ridges) 3.3 오묘한 색상 차이 ㅁ 조석고정 4. 물리적 특징 1. 테티스 작명 이 위성은 1684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견하였으며, 그리스 신화 바람의 여신 테티스(Tethys)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2. 테티스의 주요 특징 2.1 테티스 크기 테티스는 토성의 내부 위성 중에서 상당한 크기를 자랑하는 위성입니다. 지름은 약 1,066 km로, 토성의 다른.. 2023. 9. 6.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국내 탐사장비 LUSEM 장착 미국 항공우주국(NASA) 주도로 시작된 아르테미스 계획이 진행되면서 53년 만에 다시 유인 달 탐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계획에는 미국과 영국, 일본, 프랑스 등 현재 모두 28개 국가가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하면서 동참하고 있는데, 한국도 2021년 10번째 참여국으로 서명했습니다. 2025년에는 최초로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가 착륙선을 타고 달 표면에 착륙할 계획입니다. ㅁ CLPS 프로젝트 CLPS 프로젝트란 내년 발사되는 무인 달 착륙선으로 천연자원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25년에 발사될 유인 착륙을 돕기 위해 준비되는 아르테미스 하위 프로젝트입니다. ㅁ 한국에서 개발하는 탐사장비 4종 1. 달 표면 우주환경 모니터(LUSEM, 루셈) 2. 달 표면 자기장 측정기 3. 달 표토 3차원 .. 2023. 9. 6. 토성 위성 이아페투스 Iapetus 태양계 위성 토성의 위성 중 하나인 이아페투스(Iapetus)는 흥미로운 특징들로 가득한 미스터리한 위성입니다. 토성의 위성 가운데 세 번째로 큰 이아페투스를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이아페투스 발견 2. 크기와 위치 3. 공전과 자전 ㅁ 조석 고정이란 4. 이아페투스 표면 특징 4.1 태양계 최대 산맥 4.2 이상한 표면 색상 5. 과거 탐사선 1. 이아페투스 발견 토성의 위성 Iapetus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지오반니 카시니입니다. 지오반니 카시니는 자신의 개량된 망원경을 사용하여 토성 주위를 관측하다가 이 작은 위성을 처음으로 관측했습니다. 그는 1655년에 타이탄 위성을, 1671년에 이아페투스 위성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러한 위성들의 존재를 확인함에 따라 토성은 단순히 하나의 대형 .. 2023. 9. 5.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