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메아는 태양계 천체들 중에서 독특한 모양을 가진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행성은 길쭉한 타원체 모양을 띠고 있으며, 빠른 자전으로 인해 평평한 모양을 갖추고 있습니다. 신비로운 천체 하우메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목차
1. 하우메아 발견과 작명
하우메아는 2005년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천문대에서 처음 발견하였으며, 이름은 미국 연구진이 제시한 하우메아가 붙여졌습니다. 출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하와이 신화의 여신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2. 행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하우메아
※ 행성의 정의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어야 하며, 자신의 중력으로 둥근 구체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독립적인 공전 궤도를 확보해야 한다.
현재 왜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 세레스, 에리스, 마케마케, 하우메아는 마지막 조건인 독립적인 공전 궤도를 확보하지 못하여 왜행성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왜행성 이름 | 관측 사진 및 상상도 | 왜행성 직경 |
명왕성 Pluto | ![]() |
2,370 km |
에리스 Eris | ![]() |
2,320 km |
마케마케 Makemake | ![]() |
1,500 km |
세레스 Ceres | ![]() |
940 km |
하우메아 Haumea | ![]() |
1,960 km |
3. 하우메아 공전과 자전
공전 주기는 약 284년으로 명왕성의 247년보다 37년 더 긴 공전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전 주기는 약 4시간으로 매우 빠른 자전 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하우메아가 길쭉한 모양을 유지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입니다.
4. 하우메아 고리
고리는 하우메아의 중심에서 2,280km 떨어진 곳에 약 70km의 너비로 존재하며 하우메아가 3번 자전할 때마다 고리의 입자는 1번 공전하는 거리에 있습니다.
이 고리는 하우메아의 전체 밝기 중 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 하우메아 위성
하우메아는 2개의 위성이 발견되었으며, 충돌에 의해 하우메아로부터 떨어져 나온 것으로 보이는 이 두 위성들은 모두 2005년에 발견되었으며, 둘 다 크기는 400km를 넘지 않습니다.
하우메아는 아직까지 많은 미스터리를 가지고 있는 행성입니다.
우주 탐사 임무와 천문학적 연구를 통해 미래에는 하우메아를 둘러싼 더 많은 이야기가 펼쳐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건 어때요?
아마존 카이퍼 프로젝트 위성 발사 블루 오리진
세계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아마존이 10월 5일 미국 케이프 우주군 기지에서 인터넷 통신 위성 2기를 아틀라스 V로켓에 실어 발사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아마존이 추진 중인 카이퍼 프로젝트에
bbaggomi.co.kr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임무와 업적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독일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의 이름을 따 명명된 망원경으로, 골디락스 존에 있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찾는 임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케플러의 발견 업적 보기 Legac
bbaggomi.co.kr
인류의 미래기술 핵추진 로켓 DRACO 프로젝트
NASA와 DARPA가 진행 중인 원자력로켓 엔진개발 프로젝트 DRAC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ASA는 세계최고의 우주 기관들이 모여 2027년까지 핵추진 로켓을 개발하고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bbaggomi.co.kr
'우주 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우주정거장 ISS 나우카(MLM) 모듈에서 냉각수 누출 (14) | 2023.10.12 |
---|---|
아리랑 다목적 실용위성 러시아와 발사계약 해제 (8) | 2023.10.11 |
아마존 카이퍼 프로젝트 위성 발사 블루 오리진 (6) | 2023.10.09 |
한국 아르테미스 달 프로젝트 2년째 지지부진 (5) | 2023.10.09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우주 쓰레기 벌금 부과 (4)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