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태양계 밖에서 찾아낸 외계 행성이 첫 발견 이래 5600개를 돌파했습니다. 현재까지 인류가 우리 은하 내에서 발견한 것으로 추산되는 외계행성의 비율은 약 0.0000001%로 우리 은하에는 최소 1000억 개 이상의 행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외계 행성 중 지구와 닮은 행성 발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지적 생명체가 살고 있는 행성은 언제쯤 발견할 수 있을까요?
※ 우리 은하 밀키웨이 은하수
* 케플러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ㅁ 목차
1. 우주망원경의 기술력 발달
인류는 1992년 처녀자리에서 처음으로 외계행성 2개를 발견했습니다.
2000년까지만 해도 인류가 찾은 외계행성은 100여 개에 불과했지만, 허블과 스피처, 케플러, 테스 등 행성 사냥꾼이라 불리는 우주망원경의 기술력 발달로 어느새 수천 개까지 늘었습니다.
특히 케플러는 2018년 수명이 끝날 때까지 약 2600개의 외계행성을 발견했고, 이후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4000개가 넘는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2. 발견된 행성의 타입
지금까지 발견한 가장 많은 외계 행성의 종류는 해왕성형으로 33%를 차지합니다.
우리 태양계의 맨 바깥에 있는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같이 얼어붙은 거대한 행성들입니다.
다음은 32%의 가스형 거대 행성과 31%를 차지하는 초지구형 행성입니다.
가스형은 태양계의 목성과 토성처럼 가스로 이뤄진 거대 행성이고, 초지구형은 지구처럼 암석형 행성이지만 크기가 훨씬 큰 행성을 말합니다.
나머지 4%가 지구처럼 암석형이고 크기도 비슷한 지구형 행성이다.
3. 외계행성 발견하는 방법
너무 멀고 어두워 관측하기 어려운 외계행성들은 어떻게 발견하고 있을까요?
대다수의 외계행성은 직접 관측이 아닌 간접적인 증거를 통해 발견되고 있습니다.
NASA에 따르면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방법은 모항성의 밝기 변화 측정, 별과 행성의 질량 등으로 인한 위치변화 측정, 중력 렌즈 관측, 별의 미세한 움직임을 직접 측정하는 천체측량, 직접 관측 등 크게 5가지입니다.
이 가운데 5000개가 넘는 외계행성이 모항성의 밝기 변화와 위치변화 측정 방법을 통해 발견되었습니다.
3.1 모항성의 밝기와 위치변화 측정
외계행성도 모항성을 공전할 수밖에 없는데, 어떤 별을 관측하는 과정에서 빛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회복되면 그 별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이 잠시 가렸을 것이라고 파악하는 식입니다.
이를 통해 행성의 공전주기나 크기, 고리의 유무 등까지도 알아낼 수 있습니다.
4. 계획되고 있는 탐사 활동
나사는 임무를 종료한 케플러 후임으로 탐사위성 테스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발사하면서 탐사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2026년 발사될 낸시 그레이스 로먼 우주 망원경은 외부 은하까지 관측해 가장 먼 곳에 있는 외계행성 탐색에까지 나설 예정입니다.
특히 로먼 망원경은 가장 발전한 관측 장비를 탑재해 모항성보다 10억 배 어두운 외계행성까지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2029년에는 유럽우주국이 아리엘 우주망원경을 잇따라 발사할 예정이기도 합니다.
※ 다양한 우주망원경
* 스피처 우주망원경
* 케플러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우주 은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에서 채취한 샘플 반환 계획 수정 (MSR) 퍼서비어런스 (76) | 2024.04.19 |
---|---|
소행성으로부터 지구를 지키는 DART(다트)미션 (74) | 2024.04.17 |
우주에서 신약 의약품을 개발하는 이유 (61) | 2024.04.13 |
페름기 대멸종과 생존 그 후의 환경 변화(Permian Period) (65) | 2024.04.11 |
아르테미스 달 탐사 차량(LTV)과 국내 달 탐사 로버 개발 (66)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