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 은하

암흑산소 망간 단괴(Manganese Nodule) 광합성 없이 산소 생성

by 가보쟈 2024. 8. 9.

자연적인 산소의 생성 과정은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합성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욱이 바다와 같은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산소가 소비될 뿐 새로 생성되지는 않는다는 공통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심해에서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산소를 생성한다는 놀라운 결과가 확인되었는데, 암흑 산소라 불리는 망간 단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ㅁ 목차

1. 망간 단괴란 무엇인가?

2. 망간 단괴의 산소 생성 원리

3. 망간 단괴의 생성 과정

4. 망간 단괴의 경제성과 환경오염

5. 태양계의 생명체 기대감 높아져

1. 망간 단괴란 무엇인가?

망간 단괴는 주로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해저에서 발견되는 금속 광물 집합체입니다. 이 단괴들은 주로 망간, 철, 니켈, 구리, 코발트 등을 포함하고 있어 경제적으로 매우 가치가 높습니다. 망간 단괴의 형성 및 그 중요성은 최근 몇 년간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이들 단괴가 미래의 금속 자원으로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연구되고 있습니다.

망간 단괴의 심해 바닥에 있는 모습

2. 망간 단괴의 산소 생성 원리

망간 단괴의 표면에는 최대 0.95 볼트의 전압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기분해를 통해 바닷물에서 산소를 만들어내려면 1.5 볼트의 전압이 필요한데, 이는 여러 개의 망간 단괴가 직렬 전지처럼 모이면 쉽게 도달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3. 망간 단괴의 생성 과정

망간 단괴는 매우 느린 속도로 해저에서 형성됩니다. 연간 1~10mm의 성장을 보이며, 형성 과정을 보면 해수에 녹아 있는 금속 이온들이 화학반응을 통해 침전하면서 망간 단괴가 형성됩니다. 이 과정은 해양의 물리적, 화학적 환경에 크게 의존하며, 특히 해저의 산화-환원 조건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산화 조건에서는 금속 이온들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형성되고, 환원 조건에서는 이러한 침전물이 용해되기도 합니다. 또는 미생물 활동과 퇴적물에서 나온 물질들이 망간 단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금속 이온의 산화를 촉진하여 망간 단괴를 형성하게 됩니다.

4. 망간 단괴의 경제성과 환경오염

망간 단괴는 다양한 금속 자원을 포함하고 있어, 현대 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니켈, 구리, 코발트는 전기차 배터리 및 다양한 전자기기의 필수 원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망간 단괴는 이러한 금속의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저에서의 망간 단괴 채굴은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해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해양 생물 다양성의 손실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채굴 방법이 연구되어야 합니다.

5. 태양계의 생명체 기대감 높아져

이번 발견은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빛이 없는 심해에서도 산소가 생성되는 사실을 확인한 만큼 우리는 생명 기원에 대한 의문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로파나 타이탄과 같은 물이 풍부한 위성의 지하 바다에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 기대감도 그만큼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태양계 밖 외계행성 지하 바다 생명체 존재 가능

우리가 아는 한 생명체에는 물이 필요합니다. 이 단순한 사실 때문에 천문학자와 우주생물학자들은 자연스럽게 액체 바다가 있을 수 있는 외계 행성을 식별하는 데 노력을 집중해 왔습니다. 지

bbaggomi.co.kr

 

유로파(Europa)에 바다가 있는 이유 Clipper 탐사선 목성 위성

NASA는 목성의 매력적인 위성 유로파 (Europa) 탐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로파는 얼음으로 덮인 지각 아래에 깊은 바다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위성입니다.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라는 탐사

bbaggomi.co.kr

 

행성 금성의 바다가 사라진 이유 HCO+ 다빈치 탐사선

금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뜨거운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수십억 년 전 금성에 존재하던 물이 증발하면서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온실효과를 더욱 증폭시켜 발생된 것으로 보고

bbaggomi.co.kr